금융위 ESG공시 2029년 시행 확정해놓고 비공개 대선캠프 압 > 커뮤니티

본문 바로가기

금융위 ESG공시 2029년 시행 확정해놓고 비공개 대선캠프 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라이더 작성일25-04-24 14:01 조회6회 댓글0건

본문

금융위 경영계입장 대폭 반영한 2029년 시행안 잠정 확정 ESG공시 대상도 자산총액 2조원20조원으로 크게 완화 대선경선캠프 압박에 해당내용 비공개 금융위 사실무근 사실상 올해 상반기 내 ESG공시 로드맵 공개는 어려울 듯자본시장 선진화를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해온금융위원회가 ESG공시 의무화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초 계획보다 크게 후퇴한 방안으로 결론을 내고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엘루크 방배 서리풀 금융위는 그동안 여러차례 미뤘던 공시 의무화 시점을 2029년으로 확정하고 공시대상도 자산총액 2조원 이상의 코스피 상장사에서 20조원 이상 상장사로 크게 완화하기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또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ESG공시를 법정공시로 할 예정이었으나 한국거래소 규정에 따른 공시로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당 내용은 기업부담을 낮춘다는 명분은 있지만 사실상 금융당국이 추진 중이던 자본시장 선진화와 배치되는 결과인 만큼 논란이 예상됩니다

고흥 승원팰리체 하이엔드  ESG공시 시점 대상 형식 모두 후퇴시킨 금융위금융위원회는 지난 23일 보도자료를 통해 ESG금융추진단 제5차 회의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추진단은 해외 ESG공시 사례를 근거로 국내 ESG공시 도입 시기를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애초 금융위는 2021년초 발표한 ESG공시 단계적 의무화 계획을 통해 2025년부터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공시를 시행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다 시행시점이 임박한 2023년 10월에는 다시 2026년 이후 로 연기했습니다 지금까지도 구체적 시행시점을 확정하지 않았습니다

이 상황에서 지난 23일 추진단 논의내용을 종합하면 더 뒤로 늦출 수도 있다는 해석이 가능했습니다  이러한 해석은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금융위가 2029년 시행 을 염두에 두고 ESG공시 로드맵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동안 경영계에서 주장해 온 ESG공시 2029년 시행안을 그대로 반영한 셈입니다  관련 내용에 정통한 국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가 사실상 2029년 시행을 못 박고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 며 공시대상 역시 기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에서 자산총액 2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로 대폭 축소했다 고 설명했습니다 시행시점 못지 않게 ESG공시대상이 축소된 것도 문제다 애초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ESG공시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던 금융위가 20조원 이상으로 기준을 대폭 낮췄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산총액 20조원 이상인 상장사는 삼성전자 삼성생명 한국전력 한화생명 기업은행 등 42곳에 불과합니다

 해당 관계자에 따르면 2029년 시행 및 자산총액 2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대상으로 ESG공시를 시행한다는 안은 금융위가 먼저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울러 금융위는 ESG공시를 자본시장법상 법정 공시가 아닌 한국거래소 자율공시로 추진하기로 가닥 잡았습니다 또 공급망 전체를 온실가스 배출 감축 대상으로 삼는 방식인 스코프 3도 2031년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역시 기업의 부담을 낮춘 조치다 2029년 시행 자산총액 20조원 공개 안 한 이유는금융위는 2029년 시행 자산총액 20조원 이상 대상 등의 내용을 잠정 확정한 상황에서 23일 ESG금융추진단 회의내용를 개최할 예정이었습니다  아울러 5월 중 공청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한 뒤 6월 3일 대통령선거 이전에 ESG로드맵 확정안을 발표할 계획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금융위는 23일 발표한 보도자료에 해당 내용을 넣지 않았습니다 대신 유럽연합 과 일본 영국 미국 등을 예로 들며 해외 주요국들이 ESG공시를 아직 확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국내 ESG공시 역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정도로만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아울러 금융위는 2029년 시행 이라는 점을 간접적으로 해석 가능하도록 EU의 역외기업에 대한 ESG공시 의무화 시점을 예로 들었습니다

 일각에서는 금융위가 차기 대선 후보로 유력한 야당 경선캠프의 눈치를 보고 2029년 시행 자산총액 20조원 이상 등 구체적인 내용을 비공개로 돌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국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의 ESG공시 로드맵 계획이 새나갔고 야당 쪽 대선경선후보 캠프에서 공개하지 말라고 압박하면서 금융위가 23일 보도자료에 해당 내용을 넣지 않은 것으로 안다 고 전했습니다  야당 대선경선 캠프에서 금융위에 압박을 가한 것은 해당 내용이 자신들이 추구하는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과 배치되는 내용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금융위는 해당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9년 시행 자산총액 20조원 이상 상장사를 대상으로 결정짓고 논의를 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라며 여러 방안을 놓고 다양하게 검토 중 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결정을 하더라도 금융위가 일방적으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이해관계자들 의견을 듣고 정할 것 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금융위는 야당 대선경선후보 쪽의 압박에 의해 추진단 회의 내용을 수정했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전혀 사실무근 이라며 이미 추진단 보도자료는 내용이 지난주부터 정해져 있었는데 보도계획을 바꾼 것이 없다 고 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금융위는 올해 상반기 중 내놓겠다던 ESG공시 로드맵 공개를 연기할 것으로 보인다 해외 사례를 근거로 국내 ESG공시 시행 역시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기 때문입니다  금융위는 올해초 발표한 2025년 업무계획에서 국제 규범에 부합하는 지속가능 공시기준 및 로드맵 을 상반기에 마련하겠다고 밝혔는데 이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TOP

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 경강로 261번길 99 (삼패동 246-1)
전화번호 : 031-572-4567 모바일 : 010-4176-4454 팩스번호 : 031-572-4040
사업자등록번호 : 655-05-02098 입금정보 : 신한은행 110-530-367258 김성진 (성진 책표지)
상호명 : 성진 책표지 대표 : 김성진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성진(book8717@naver.com)

COPYRIGHT(C) 성진 책표지 ALL RIGHTS RESERVED.